전체 글(52)
-
JS 콜백함수를 이용한 프로그램과 단점
js에서 함수는 ==> 객체입니다. 함수의 파라미터로서 객체를 전달할 수 있기에 함수의 피라미터로서 다른 함수에 전달하고 감싼 함수의 내부에서 그 함수를 호출합니다. 아래의 코드를 보면 function print(callback) { callback(); } 다른 함수를 피라미터로 받아 내부에서 그것을 호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가 콜백입니다. 즉 다른 함수의 피라미터로써 전달되는 함수가 콜백함수입니다. js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하지만, 특정한 행위가 일어났을 때 순차적으로 실행되지 않을 때가 발생합니다. 이런 걸 비동기 프로그래밍이라고 하는데 콜백은 위와 같은 경우에서 함수가 실행되지 않는 것을 보장합니다. 즉 태스크가 끝나기 전에 함수가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ingang과..
2023.08.15 -
[js] async와 await 개념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프로그래밍 언어이기에 비동치 처리가 기반입니다. 비동기 처리는 그 결과가 언제 반환될지 알 수 없기에 동기식으로 차리 하는 기법들이 사용되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동기식 처리 방식은 callback, promise 등이 있습니다. async와 await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사용법이 간단하다는 것입니다. function p() { return new Promise((resolve, reject) => { resolve('life is short'); }); } p().then((n) => console.log(n)); async function p() { //asyuc 지정시 Promise를 리턴하는 함수로 만들어줌 return 'life is short'; } p2().t..
2023.08.13 -
js 노드 조작
HTML로 작성한 구성 요소들은 웹 브라우저에서 각각 하나의 객체로 인식됩니다. 웹 브라우저가 html 문서를 해석하고 객체로 변환시킵니다. docuent 객체를 이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며 트리구조를 가졌다는 특징이 있습니다.(DOM트리) 노드는 DOM 트리에서 태그의 각각의 요소를 뜻합니다. 부모, 자식, 형제 관계를 형성하며 html의 enter도 하나의 텍스트 노드로 인식합니다. 노드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조작을 할 수 있습니다. 1) 스타일 조작 스타일을 조작할 때는 아래와 같은 style 속성을 사용합니다. h1.style.backgroundColor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h1.style['backgroundColor'] 2) 클래스 속성 조작 클래스 속성을 제어하는 대표적인 함수는 add()..
2023.08.05 -
[JS] document 객체
Document 객체는 웹 페이지 그 자체를 의미합니다. 웹 페이지에 존재하는 HTML 요소에 접근해야 할 때 반드시 Document 객체부터 시작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document 객체의 메서드] 1. document.createElement(): 새로운 htmlElement 객체 생성 2. document.getElementByld(): id 속성으로 HTMLElement 객체 탐색 3.document.getElementsByClassName(): class속성으로 HTMLElement 객체 탐색 4. doucument.getElementsByTagName():태그 이름으로 HTMLElenment 객체 탐색 5. doucument.appendChild():지정한 객체를 HTML 요소의 마지막 자..
2023.07.24 -
Unifox 과제 인프런python
[ 간단하게 보는 python의 장점 ] ==> 다른 언어의 비해 간결하고 쉬움 무료 오픈소스 강력함 print는 어려 행태로 모든 언어의 다 존재하며 c언어에서는 printf 파이썬에서는 print로 표기됩니다. [print 사용법] # 기본출력 print() print는 함수입니다. () 가로 안에 인수를 넣어주어야 합니다. 인수를 넣을 땐 "",' ' 과같은 문장부호를 넣어주어야 합니다. print("python") printf('python') *** 그냥 print()만 친다면 엔터가 쳐지는 것입니다. # separator 옵션 printf('p','y','t','h','o','n') 위와 같은 코드 작성 시 p y t h o n으로 출력됩니다 이때 printf('p','y','t','h','o..
2023.07.10 -
CPU동작원리 정리
CPU ==> 트랜지스터라고 하는 반도체로 만들어짐 반도체는 주로 실리콘으로 만드는데 실리콘 최외각 전자가 4개이므로 안정한 상태를 만들기 위해 다른 실리콘 원자들과 결합해야 합니다. 안정적인 상태로 결합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는데 실리콘보다 전자가 1개 많거나 1개 적은 원소를 추가하면 전기를 통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전자가 하나 적은 원소를 첨가한 반도체는 ==> p형 반도체 전자가 하나 많은 원소를 첨가한 반도체는 => n형 반도체라고 합니다. 트랜지스터는 아래와 같이 생겼는데 pnp 또는 npn 반도체가 들어있습니다. 아래 3줄 부분에 특정 전압을 걸어주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면 논리회로 만들 수 있는데 트랜지스터 두 개를 연결해 보면 하나가 아닌 두 개 다 전압이..
2023.05.14